티스토리 뷰

[영국의 크리에이터에게 묻다] 고성연

 

케네스 그레인지 : 새로움은 일상에 있다

로스 러브그로브 : 장르를 넘나드는 사고가 필요하다

어맨다 레베트 : 가장 나답게 행동하라

팀 브라운 : 나는 손으로 사고한다

케빈 로버츠 : 머리가 아닌 가슴에 호소한다

 

 피터 블레이크 : 좋아하는 것들을 모으니 팝아트가 되엇다

"미국에 앤디 워홀이 있다면, 영국엔 피터 블레이크가 있다."

무엇을 갈망하는지 들여다보라

다양한 장르에 대한 순수한 관심을 반영하듯 피터 블레이크의 작품은 꾸밈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냉소'나 '충돌'같은 요소는 찾아보기 힘들다. 예술가랍시고 스스로를 은근히 높이는 엘리트 의식의 흔적을 전혀 엿볼 수 없다. 그는 영국에서 경박하다고 여겨지기도 했던 엘비스 프레슬리 같은 대중문화의 아이콘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면서 자신의 취향을 숨기거나 비틀지 않고 솔직하게 경의를 표했다. 그를 비롯ㅎ나 영국의 1세대 팝 아티스트들이 소재의 선택에서 미국 작가들에 비해 보다 더 사적이고 주관적인 경험을 강하게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는 것은 이 때문이다.

2003년 내털리 러드는 피터 블레이크를 "괴짜지만 순수하고 정직한 단순함이 돋보이며, 약간 수줍음을 타고 관습에 얽매이지 않으면 어린아이와도 같은..."이라고 묘사했다.

 

집념의 한게는 어디까지일까? 먼지 봉투 없는 진공청소기로 세계를 재패한 산업 디자이너 제임스 다이슨을 보면 일너 의문이 든다. 그가 이 제품을 개발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5년. 총 5,127개의 시제품을 만든 끝에 성공햿다. 꼬박 5년 동안 하루도 빼놓지 않고 매일 평균 세 개꼴로 시제품을 만들었다는 얘기다. 발명에 성공하고도 자신의 디자인을 제품화하기는 쉽지 않았다. 가전제품 업체마다 문을 두드리며 제품화를 의뢰했지만 대답은 모두 '거절'이었다. 어쩔 수 없이 직접 회사를 설립했다. 그렇게 탄생ㅎ나 먼지 봉투 없는 진공청소기는 연간 1조 원대의 기업 매출을 내며 다이슨의 밑바탕이 됐다.

근거 있는 노력은 결코 배신하지 않는 법이다. 다이슨은 영국에서 롤스로이스에 이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한 기업이 됐다. 특허가 1,250개를 넘는다. 다이슨의 R&D센터에는 영양을 보충하며 세상에 나오기를 기다리는 '시험관 아기'들이 또 얼마나 될지 모른다.

 

추종자를 만들어라 - 재스퍼 모리슨

평상심에서 우러나온 정제된 감정, 그리고 그런 감성을 디자인에 투영시키는 '슈퍼 노멀'. 미니컬리스트라고 외치는 사람들은 꽤 많다. 하지만 재스퍼 모리슨처럼 이를 '슈퍼 노멀'의 차원에서 진득하게 고민하고 운신의 폭을 차분히 넓혀가는 이는 흔치 않다. 의자를 비롯한 가구로 스타엄에 오른 그의 디자인 세계는 첨단 디지털 기기부터, 가전제품은 물론 주방 소품에 이르기까지 무척이나 다채롭다.

군더더기를 빼고 기본을 생각하라

여행을 다니면서 세상의 다채로운 사물을 눈에 담고 사람들을 관찰하는 것은 원래부터 재스퍼 모리슨의 취미이자 특기였다.

"별것 아닌 듯한 사물과 거기에 관련된 문제점을 아주 골똘히 생각해보는 겁니다. 진부한 말 같지만 모든 사물은 영감을 줍니다. 좋은 것도, 나쁜 것도 나름대로 다 쓸모가 있죠. 예컨대, 좋은 의자가 있고 나쁜 의자가 있다고 칩시다. 일상에서 늘 접하는 의자가 도대체 왜, 어떤 면에서 나쁜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보면, 때때로 아주 중요한 디자인의 단서가 나온다는 겁니다."

 

재스퍼 모리슨의 디자인 정체성을 함축하는 '슈퍼 노멀'은 의도적으로 꾸미지 않았기에 평범해 보인다. 그래서 처음에는 '심심하다'싶으면서도 어딘가 끌리는 그런 매력을 말한다.

그의 책 '슈퍼 노멀'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됐다. "육감적으로 왠지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던 듯한 매력을 느끼고, 이상하게도 친숙한 끌림이 있다. 우리를 마구 흔들어 제정신이 번쩍 들게 만드는 성질을 지닌 것들."

 

마크 샌더스 : 취향을 더하면 새로운 영역이 된다

번잡한 도심에서 유용한 접이식 자전거 시리즈로 자전거의 역사에 이름을 새긴 마크 샌더스. 그에게는 엔지니어도, 디자이너도 아닌 '발명가'라는 호칭이 가장 잘 어울린다. 거대한 조직의 구속을 받지 않고 발명가의 자유로운 정신과 개인적인 삶의 귷녕을 지켜나가고자 1인 창조기업ㅇ르 꾸려온 마크 샌더스의 소박한 웃음은 '해맑은 중년'이 어떤 것인지 보여준다. 그러나 그 친절한 미소의 기저에는 스스로를 보듬고 다스리고 채찍질하면서 차분히 앞으로 나아가는 굳건한 의지와 평생에 걸쳐 몰입하고 싶은 일이라는 '창조적인 발명에 대한 진한 애정이 깔려 있다.

 내가 갈구하는 건 스스로 만든다

"세상에 나가 실질적인 경험을 샇게 되자, 비로소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실히 알 수 있게 된 것이죠."

새 꿈이 생긴 마크 샌더스는 자신의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좋은 직장에서 나와 왕립예술학교 진학을 감행했다.

그는 자신의 '작은 홀로서기'에 대한 후회나 큰 부나 명예에 대한 부러움은 별로 ㅇ벗다고 햇다. 1인 기업의 삶이 때로는 외롭고 고단할지라도 멀리서 온 손님과 거의 하루를 같이 보내면서 담소를 나눌 수 있는 여유, 그리고 골똘히 일에 집중하다가도 때떄로 자전거나 배를 타면서 유유자적 노닐거나, 바닷가 마을의 고요함 속에서 오롯이 진정으로 즐기는 '창조적 발상과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라이프 스타일을 누릴 수 있기르 ㄹ언제나 바라왔고, 그러한 가치관에 상응하는 선택을 스스로 했기 때문일 것이다.

 

내면의 감성에 집중하라 - 토르트 본체

앨프리드 히치콕 감독의 팬이라는 그는 책, 영화, 요리, 산책 등 취미가 다양해 지루할 틈이 없다고 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종류의 사람들과 호흡하고 공명하면서 흥미로운 요소를 찾아내는 걸 매우 즐긴다. 창조적 영감이 온갖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떠오른단다. 에를 들어 말이 있다고 치자. 배경이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말은 다채로운 이야기 보따리를 풀어놓을 수 있는 소재겠지만, 그와 동시에 어릴 적 추억에 얽힌 공통 분모로서의 보편적 속성도 가지고 있다. 본체는 바로 이러한 점에 주목하고, 여기에서 받은 영감을 디자인으로 풀어내는 것이다.

그러나 작품으로 승화시킬 만큼 뚜렷한 개념을 잡을 때까지는 역시 시간이 필요하다. "제 경우는 보통 상당히 느리게 진척되죠. 저는 창작 작품의 개념을 잡는 데 꽤 오래 걸리거든요. 한없이 시간을 보내는 것 같지만 어느 날 뭔가가 반짝하고 떠오르면 아침에 일어나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죠. 일단 개념이 머리에 자리 잡히면 실제 작업은 굉장히 빨리 하는 편입니다."

그가 흠모하는 런던의 치명적인 매력은 다문화적인 면모와 역동성이다. 국제적인 도시로 유명한 암스테르담에도 머물렀지만 런던만큼 다양성이 넘치진 않았다. 토르트 본체는 '코즈모폴리턴'을 자처하는 만큼 국적이나 시민권 등으로 자신의 정체성이 규정되는 걸 꺼리는 편이다.

그는 젊은 '후학'들에 대해서도 '정체되어 있지 말라'는 뼈있는 조언을 유난히 강조했다. 단지 학업에만 열중하지 말고 여행을 다니고 혼자만의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시도해보고, 책을 읽거나 엔지니어링 지식을 쌓는 식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도모하라는 것이다. '한번 스승은 영원한 스승'이라는 구절이 떠오르는 면모다.

 

댓글